디파이(DeFi) 가 뭐에요? - DeFi 에서 투자기회 찾기
혹시 '디파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신적 있나요?
디파이는 암호화폐, 디지털자산 생태계가 발전하면서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정확히 디파이가 무엇인지 어떤 서비스들이 있는지, 또 어떤 투자 기회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DeFi - Decentralized Finance
DeFi는 Decenteralized Finace 의 약자로,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뜻합니다.
금융 - Finance
디파이에서 금융(Finance)은 대출, 예적금, 환전, 투자 등 금융 서비스를 뜻합니다. 한마디로 기존 전통 은행사, 증권사들이 하고있는 금융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금융 서비스들은 은행, 증권사 등 중앙화된 기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또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중에서 발생하는 이익(예대 마진, 환전 수수료 등)은 대부분 해당 금융 기관들만 가져 가고 있는게 현재 상황입니다.
탈중앙화 - Decentralized
그럼 중요한 부분은 탈중앙화(Decentralized) 입니다.
코인은 은행, 중앙화된 기관, 혹은 그 기관들이 만들어내는 화폐를 신뢰하지 못해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코인을 금융서비스에 활용하려고 할 때 중앙화된 은행에 맡겨야 한다고 하면 아이러니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코인을 통한 예적금, 대출, 투자 등의 금융서비스도 중앙 기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들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를 디파이(DeFI - Decentralized Finance) 라고 합니다.
탈중앙화된 서비스가 어떻게 가능할까?
중앙화된 서비스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기반에 있습니다. 은행이 해킹당하거나, 오류로 인해서 통장의 잔액이 변할리 없다는 암묵적인 신뢰가 있고, 만약 그런 사태가 발생한다면 은행, 정부가 보상을 해줄 것 이라는 신뢰가 있습니다.
탈중앙화된 서비스의 핵심은 스마트컨트렉트에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히 코인이 얼마나 발행됐고, 어디서 어디로 송금됐는지 정도의 정보만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과 같이 더 발전한 코인(블록체인)은 스마트컨트렉트라는 기능을 개발해서 블록체인에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토스앱, 배민앱 등 IT 서비스와 같이 개발자들이 구현해내는 로직과 동일합니다. 이 프로그램에 '누가 누구로부터 얼마를 대출했고 언제까지 상환해야 한다', 'A코인 몇개를 받으면 B 코인 몇개를 돌려준다', 'A코인 몇개를 받으면 게임아이템을 돌려준다'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고, 이를 블록체인상에서 구동하여 탈중앙화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됩니다.
탈중앙화된 서비스에서는 스마트컨트렉트 자체에 대한 신뢰가 기반이 됩니다. 올바르게 개발된 스마트컨트렉트는 임의로 수정하거나 다시 배포하는게 불가능합니다. 또한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우리의 기록과 자산을 관리하기 때문에 해킹되거나 위변조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합니다.
이러한 스마트컨트렉트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탈중앙화된 서비스들을 Dapp - Decentralized App 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Steemit(탈중앙화 블로그 플랫폼), 크립토키티(고양이 육성 게임), 엑시인피니티(Play-to Earn·P2E, RPG 게임) 등이 있습니다. DeFi도 Dapp이며 금융에 집중된 탈중앙화 서비스 입니다.
DeFi 에서는 어떤 서비스들이 있을까?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들은 전통적인 금융 기관들이 하던 모든 금융 활동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DeFi 서비스들은 빠르게 성장하여 수십가지의 서비스가 있으며 지금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1. 환전 서비스
만약 내가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을 이더리움으로 바꾸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업비트, 바이낸스등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원화로 바꾸고 다시 원하는 코인으로 구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는 비효율적이고 탈중앙화를 깨트리는 방식입니다.
Pancakeswap, Uniswap, Klayswap 등 swap 이라는 이름을 가진 DeFi 서비스들은 중앙화된 거래소 없이 탈중앙화된 코인간의 환전을 제공합니다.
2. 담보 대출 서비스
실생활에서도 부동산, 자동차, 토지등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진행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금융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이런 담보대출 서비스를 DeFi에서도 구현되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Dai, Kokoa Finace 등의 서비스는 이더리움, 비트코인등 가치가 어느정도 인정된 코인을 담보로 잡고 스테이블 코인을 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P2P 대출 서비스
담보 대출 서비스에서 더 발전된 형태인 P2P 대출 서비스도 있습니다. 내가 가진 코인을 다른사람에게 빌려줘서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대출을 받는 사람은 다른 자산을 담보로 잡고 코인을 빌려갑니다.
빌려간 사람이 이자를 지불하지 않거나, 담보로 잡은 자산이 빌려간 금액과 비슷해지면 해당 담보 자산을 자동으로 판매하고 원금을 회수합니다. 빌려주는 사람 입장에서는 해당 코인 자체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 외에는 위험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그 외에 다양한 시도
현실에도 다양한 종류의 금융 상품이 있듯이 DeFi 생태계에서도 다양한 시도와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 수수료를 조금 지불하고 A코인을 B코인으로 환전
- A코인과 B코인을 스마트컨트렉트에 빌려주고 환전 수수료를 받기
- 내가 가진 코인을 다른사람에게 빌려주고 이자 받기
- 비트코인을 담보로 잡고 다른 코인 빌리기
- 다른사람의 돈을 빌려서 레버리지로 투자하기
- 하나의 NFT를 여러개의 토큰으로 쪼개서 판매하기
- 다양한 코인을 정해진 비율대로 사고파는 상품 (ETF와 유사)
- 주식시장의 주식을 코인화시켜 투자하는 서비스
- 등등..
아직까지 암호화폐 시장, DeFi 시장은 초기단계인 만큼 기회도 많지만 리스크도 크다는 사실. 투자하기전에 유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